에어컨 켤 때마다 등골이 오싹?! LG 시스템 에어컨 에러코드, 이젠 혼자서도 뚝딱 해결!
목차
- 시작하며: 여름철 필수품, 에어컨 에러코드 때문에 식은땀 흘리지 마세요!
- LG 시스템 에어컨 에러코드, 왜 뜨는 걸까요?
- 당황하지 마세요! LG 시스템 에어컨 에러코드 확인 방법
- 자주 발생하는 LG 시스템 에어컨 에러코드와 초간단 해결 방법
- CH01: 실내기 온도 센서 에러
- CH02: 실내기 입구 온도 센서 에러
- CH03: 유선 리모컨 통신 에러
- CH04: 플로트 스위치 에러 (응축수 만수 감지)
- CH05: 실내기-실외기 통신 에러
- CH06: 실외기 온도 센서 에러
- CH07: 실외기 운전 모드 에러
- CH09: 인버터 주파수 에러
- CH10: 실외기 팬 모터 에러
- CH21: DC Link 전압 이상
- CH22: 과전류 발생
- CH23: DC 전압 이상
- CH24: IPM 과부하
- CH25: 전원 전압 이상
- CH26: 압축기 운전 이상
- CH27: 역상 감지
- CH28: 압축기 과부하
- CH29: 압축기 이상
- CH30: 실외기 흡입 온도 센서 에러
- CH31: 압력 스위치 이상 (고압)
- CH32: 압력 스위치 이상 (저압)
- CH33: 압력 스위치 이상 (압력 이상)
- CH34: 압축기 토출 온도 센서 에러
- CH35: 압축기 운전 조건 이상
- CH36: 통신선 연결 불량
- CH37: 실외기 EEPROM 에러
- CH38: 실외기 팬 모터 작동 이상
- CH39: 실외기 EEPROM 정보 오류
- CH40: 실외기 PCB 온도 센서 에러
- CH41: 실외기 흡입온도 센서 오류
- CH42: 실외기 배관 온도 센서 오류
- CH43: 실외기 토출 온도 센서 오류
- CH44: 실외기 압축기 온도 센서 오류
- CH45: 실외기 유니트 온도 센서 오류
- CH46: 실외기 EEV 통신 에러
- CH47: 실외기 PCB EEPROM 에러
- CH48: 실외기 EEV 오픈 에러
- CH49: 실외기 EEV 닫힘 에러
- CH50: 실외기 EEPROM 데이터 에러
- CH51: 실외기 메인 제어 통신 에러
- 54: 상전압 이상
- 60: 실외기 PCB EEPROM 에러
- 61: 실외기 방열판 과열
- 62: 실외기 팬 모터 통신 에러
- 65: 실외기 PCB 온도 센서 에러
- 67: 실외기 BLDC 팬 잠김
- 68: 실외기 AC 팬 잠김
- 81: 실외기 압축기 작동 시간 초과
- 82: 실외기 압축기 과부하
- 83: 실외기 팬 고장
- 84: 실외기 냉매 누설
- 85: 실외기 압축기 고장
- 91: 냉매량 부족
- 92: 실외기 저압 센서 고장
- 93: 실외기 고압 센서 고장
- 94: 실외기 압축기 유량 이상
- 95: 실외기 메인 제어기 통신 에러
- 96: 실외기 모듈 통신 에러
- 97: 실외기 제어기 과열
- 98: 실외기 메인 제어기 통신 에러
- 99: 실외기 냉매량 부족
- 전문가 호출 전, 이것만은 꼭 확인하세요!
- 마무리하며: 에러코드, 이제 더 이상 두렵지 않아요!
1. 시작하며: 여름철 필수품, 에어컨 에러코드 때문에 식은땀 흘리지 마세요!
무더운 여름, 시원한 에어컨 바람 한 줄기가 얼마나 소중한지 모두 공감하실 겁니다. 그런데 갑자기 LG 시스템 에어컨에서 알 수 없는 에러코드가 번쩍! 나타난다면 어떠신가요? 등줄기에 식은땀이 흐르고, 당장 서비스센터에 연락해야 하나 막막함에 사로잡힐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이제 걱정하지 마세요! LG 시스템 에어컨 에러코드, 알고 보면 정말 쉽고 빠르게 해결할 수 있는 방법들이 많습니다. 이 블로그 게시물을 통해 여러분의 에어컨 문제를 직접 해결하고, 불필요한 출장비와 시간을 절약하는 꿀팁들을 모두 공개합니다!
2. LG 시스템 에어컨 에러코드, 왜 뜨는 걸까요?
LG 시스템 에어컨 에러코드는 단순히 고장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닙니다. 에어컨은 다양한 센서와 복잡한 시스템으로 이루어져 있어, 작은 이상 징후에도 에러코드를 발생시켜 사용자에게 알립니다. 예를 들어, 온도 센서의 일시적인 오작동, 배수관의 막힘, 전원 공급의 불안정, 심지어 실외기 주변의 통풍 불량 등 다양한 원인으로 에러코드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에러코드들은 에어컨의 상태를 알려주는 중요한 신호등 역할을 하므로, 코드를 정확히 이해하고 대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3. 당황하지 마세요! LG 시스템 에어컨 에러코드 확인 방법
에어컨 에러코드가 발생했을 때 가장 먼저 할 일은 에러코드를 정확히 확인하는 것입니다. 대부분의 LG 시스템 에어컨은 실내기 디스플레이나 유선 리모컨 액정에 에러코드를 숫자로 표시합니다.
- 실내기 디스플레이 확인: 에어컨 실내기 전면에 있는 디스플레이를 확인합니다. 보통 2자리 또는 3자리 숫자로 표시됩니다.
- 유선 리모컨 액정 확인: 유선 리모컨을 사용하는 경우, 리모컨 액정에 에러코드가 표시될 수 있습니다. 일부 리모컨은 에러 발생 시 특정 버튼을 눌러 에러코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전원 차단 후 재확인: 간혹 일시적인 시스템 오류로 에러코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에어컨 전원을 완전히 차단한 후 5분 정도 기다렸다가 다시 켜서 에러코드가 사라지는지 확인해 봅니다.
에러코드를 확인했다면, 이제 이 코드가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 파악하고 그에 맞는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4. 자주 발생하는 LG 시스템 에어컨 에러코드와 초간단 해결 방법
LG 시스템 에어컨에서 자주 발생하는 에러코드들을 정리하고, 각 코드별 초간단 해결 방법을 자세히 알려드립니다.
- CH01: 실내기 온도 센서 에러
- 원인: 실내기의 온도를 감지하는 센서에 이상이 있거나 일시적인 통신 오류가 발생했을 때 나타납니다.
- 해결 방법:
- 전원 리셋: 에어컨 전원을 완전히 끈 후(차단기 내리는 것이 가장 확실합니다) 5분 정도 기다렸다가 다시 켜서 에러코드가 사라지는지 확인합니다. 일시적인 오류는 전원 리셋으로 해결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실내기 필터 청소: 먼지로 인해 센서 감지가 방해될 수 있습니다. 실내기 필터를 깨끗하게 청소하고 다시 시도해 보세요.
- CH02: 실내기 입구 온도 센서 에러
- 원인: 실내기로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센서에 문제가 있을 때 발생합니다.
- 해결 방법: CH01과 유사하게 전원 리셋을 먼저 시도하고, 필터 청소를 통해 공기 흐름을 원활하게 해줍니다. 문제가 지속되면 센서 자체의 고장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 CH03: 유선 리모컨 통신 에러
- 원인: 유선 리모컨과 실내기 간의 통신에 문제가 발생했을 때 나타납니다.
- 해결 방법:
- 리모컨 연결 상태 확인: 리모컨 연결선이 실내기에 제대로 연결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 헐거워진 부분이 있다면 단단히 고정시켜 줍니다.
- 리모컨 재시작: 리모컨 전원을 껐다가 다시 켜봅니다.
- 전원 리셋: 에어컨 전체 전원을 리셋하여 통신을 초기화해 봅니다.
- CH04: 플로트 스위치 에러 (응축수 만수 감지)
- 원인: 에어컨 가동 시 발생하는 응축수가 정상적으로 배수되지 않아 일정 수위 이상 차올랐을 때 플로트 스위치가 이를 감지하여 에러를 발생시킵니다.
- 해결 방법:
- 배수펌프 확인: 시스템 에어컨은 보통 배수펌프를 사용하는데, 이 펌프에 이물질이 끼어 작동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할 수 있지만, 자가 점검이 가능하다면 이물질 여부를 확인합니다.
- 배수 호스 확인: 배수 호스가 꺾여 있거나 막혀 있지는 않은지 확인합니다. 호스 내부의 이물질로 막히는 경우도 있습니다.
- 경사 확인: 배수 호스가 자연스럽게 아래로 경사져 있는지 확인합니다. 역경사가 되어 있다면 물이 고일 수 있습니다.
- CH05: 실내기-실외기 통신 에러
- 원인: 실내기와 실외기 간의 통신이 원활하지 않을 때 발생하는 가장 흔한 에러 중 하나입니다.
- 해결 방법:
- 전원 리셋: 가장 먼저 에어컨 전체 전원을 차단한 후 5분 이상 기다렸다가 다시 켜서 통신을 초기화해 봅니다.
- 연결선 확인: 실내기와 실외기를 연결하는 통신선이 제대로 연결되어 있는지, 혹시 단선되거나 손상된 부분은 없는지 육안으로 확인합니다. 이 작업은 전문적인 지식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 멀티탭/연장선 사용 자제: 에어컨은 높은 전력을 소모하므로, 멀티탭이나 연장선 사용은 통신 불안정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벽면 단독 콘센트에 연결하는 것이 좋습니다.
- CH06: 실외기 온도 센서 에러
- 원인: 실외기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센서에 문제가 발생했을 때 나타납니다.
- 해결 방법:
- 전원 리셋: 역시 가장 먼저 전원 리셋을 시도합니다.
- 실외기 주변 환경 점검: 실외기 주변에 통풍을 방해하는 장애물(화분, 쌓인 물건 등)이 있는지 확인하고 제거해 줍니다. 실외기가 과열되면 센서 오작동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 실외기 팬 작동 확인: 실외기 팬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육안으로 확인합니다. 팬이 돌아가지 않는다면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합니다.
- CH07: 실외기 운전 모드 에러
- 원인: 실내기와 실외기의 운전 모드가 서로 다르거나, 시스템 설정에 문제가 있을 때 발생합니다.
- 해결 방법:
- 전원 리셋: 전원 리셋으로 시스템을 초기화해 봅니다.
- 운전 모드 확인: 모든 실내기와 실외기의 운전 모드(냉방, 난방, 제습 등)가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
- CH09: 인버터 주파수 에러
- 원인: 인버터 제어에 문제가 발생하여 주파수가 불안정할 때 나타납니다.
- 해결 방법: 이 코드는 전문적인 점검이 필요한 경우가 많습니다. 전원 리셋을 시도한 후에도 지속된다면 서비스센터에 문의하는 것이 좋습니다.
- CH10: 실외기 팬 모터 에러
- 원인: 실외기 팬 모터에 이상이 있거나, 팬이 이물질에 의해 걸려 작동하지 않을 때 발생합니다.
- 해결 방법:
- 이물질 제거: 실외기 팬 주변에 낙엽이나 기타 이물질이 끼어 있는지 확인하고 제거해 줍니다.
- 전원 리셋: 팬 모터의 일시적인 오류를 해결하기 위해 전원 리셋을 시도합니다.
- 팬 작동 확인: 전원 리셋 후에도 팬이 작동하지 않는다면 모터 고장일 가능성이 높으므로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합니다.
- CH21: DC Link 전압 이상
- 원인: 실외기 내부의 DC Link 전압이 불안정할 때 발생합니다. 주로 전력 공급 문제나 PCB 이상과 관련이 있습니다.
- 해결 방법: 전원 리셋을 시도하고, 문제가 지속되면 전문가의 진단이 필요합니다.
- CH22: 과전류 발생
- 원인: 실외기에서 과도한 전류가 흐를 때 발생합니다. 압축기나 팬 모터 등에 문제가 있을 수 있습니다.
- 해결 방법: 에어컨 전원을 즉시 차단하고, 전문가의 점검을 받아야 합니다.
- CH23: DC 전압 이상
- 원인: 실외기 내부의 DC 전압이 비정상적일 때 나타납니다.
- 해결 방법: 전원 리셋 후에도 지속된다면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합니다.
- CH24: IPM 과부하
- 원인: 인버터 모듈인 IPM(Intelligent Power Module)에 과부하가 걸렸을 때 발생합니다.
- 해결 방법: 전원 리셋 후에도 지속된다면 심각한 문제일 수 있으므로 전문가를 호출해야 합니다.
- CH25: 전원 전압 이상
- 원인: 에어컨에 공급되는 전원 전압이 불안정하거나 규정치를 벗어났을 때 발생합니다.
- 해결 방법:
- 전원 공급 확인: 주변 다른 전자기기에도 문제가 없는지 확인하여 건물 전체의 전압 문제인지 확인합니다.
- 전문가 호출: 건물 내부 전압 문제라면 전기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야 합니다.
- CH26: 압축기 운전 이상
- 원인: 에어컨의 핵심 부품인 압축기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을 때 나타납니다.
- 해결 방법: 전원 리셋 후에도 에러가 사라지지 않으면 압축기 고장일 가능성이 높으므로 전문가의 점검이 필수적입니다.
- CH27: 역상 감지
- 원인: 3상 전원을 사용하는 시스템 에어컨에서 전원 선의 상(phase) 연결이 잘못되었을 때 발생합니다.
- 해결 방법: 전문적인 전기 지식이 필요한 문제이므로, 반드시 전문가를 호출하여 해결해야 합니다.
- CH28: 압축기 과부하
- 원인: 압축기에 과도한 부하가 걸렸을 때 발생합니다. 냉매량 부족, 실외기 과열 등이 원인일 수 있습니다.
- 해결 방법:
- 실외기 주변 점검: 실외기 주변 통풍을 방해하는 요소를 제거하고 청소합니다.
- 전원 리셋: 시스템을 초기화해 봅니다.
- 전문가 호출: 문제가 지속되면 냉매량 점검 및 압축기 점검이 필요합니다.
- CH29: 압축기 이상
- 원인: 압축기에 전반적인 이상이 있을 때 나타납니다.
- 해결 방법: 전문가의 진단과 수리가 필요합니다.
- CH30: 실외기 흡입 온도 센서 에러
- 원인: 실외기로 흡입되는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센서에 문제가 있을 때 발생합니다.
- 해결 방법: 전원 리셋 및 실외기 주변 환경 점검을 시도합니다.
- CH31: 압력 스위치 이상 (고압)
- 원인: 냉매 압력이 과도하게 높을 때 고압 스위치가 작동하여 에러를 발생시킵니다.
- 해결 방법:
- 실외기 주변 점검: 실외기 통풍이 불량한지 확인하고 개선합니다.
- 전원 리셋: 시스템을 초기화해 봅니다.
- 전문가 호출: 냉매량 과다 또는 시스템 막힘 등의 문제가 있을 수 있으므로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합니다.
- CH32: 압력 스위치 이상 (저압)
- 원인: 냉매 압력이 너무 낮을 때 저압 스위치가 작동하여 에러를 발생시킵니다.
- 해결 방법:
- 전원 리셋: 시스템을 초기화합니다.
- 전문가 호출: 냉매 부족, 누설 등의 문제가 있을 수 있으므로 전문가의 점검이 필요합니다.
- CH33: 압력 스위치 이상 (압력 이상)
- 원인: 고압 또는 저압 스위치가 비정상적으로 작동할 때 나타납니다.
- 해결 방법: 전문가의 진단이 필요합니다.
- CH34: 압축기 토출 온도 센서 에러
- 원인: 압축기에서 토출되는 냉매 온도를 측정하는 센서에 문제가 있을 때 발생합니다.
- 해결 방법: 전원 리셋 후에도 지속된다면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합니다.
- CH35: 압축기 운전 조건 이상
- 원인: 압축기가 정상적인 운전 조건을 벗어났을 때 발생합니다.
- 해결 방법: 전원 리셋을 시도하고, 지속되면 전문가의 점검이 필요합니다.
- CH36: 통신선 연결 불량
- 원인: 실외기 내부 또는 실내기와의 통신선 연결에 문제가 있을 때 나타납니다.
- 해결 방법: 전원 리셋을 시도하고, 연결선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해 봅니다.
- CH37: 실외기 EEPROM 에러
- 원인: 실외기 제어 보드에 있는 EEPROM(설정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에 오류가 발생했을 때 나타납니다.
- 해결 방법: 전원 리셋 후에도 지속되면 PCB 교체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 CH38: 실외기 팬 모터 작동 이상
- 원인: 실외기 팬 모터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을 때 발생합니다.
- 해결 방법: CH10과 동일하게 팬 주변 이물질 제거 및 전원 리셋을 시도합니다.
- CH39: 실외기 EEPROM 정보 오류
- 원인: EEPROM에 저장된 정보가 손상되었을 때 발생합니다.
- 해결 방법: 전원 리셋 후에도 지속되면 PCB 교체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 CH40: 실외기 PCB 온도 센서 에러
- 원인: 실외기 메인 PCB의 온도를 감지하는 센서에 문제가 발생했을 때 나타납니다.
- 해결 방법: 전원 리셋 후에도 지속되면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합니다.
- CH41: 실외기 흡입온도 센서 오류
- 원인: 실외기 흡입 공기 온도를 측정하는 센서의 오류입니다.
- 해결 방법: 전원 리셋 후에도 지속되면 전문가의 진단이 필요합니다.
- CH42: 실외기 배관 온도 센서 오류
- 원인: 실외기 내부 배관의 온도를 측정하는 센서에 문제가 있을 때 나타납니다.
- 해결 방법: 전원 리셋 후에도 지속되면 전문가의 진단이 필요합니다.
- CH43: 실외기 토출 온도 센서 오류
- 원인: 실외기 압축기에서 토출되는 냉매 온도를 측정하는 센서의 오류입니다.
- 해결 방법: 전원 리셋 후에도 지속되면 전문가의 진단이 필요합니다.
- CH44: 실외기 압축기 온도 센서 오류
- 원인: 압축기 온도를 측정하는 센서의 오류입니다.
- 해결 방법: 전원 리셋 후에도 지속되면 전문가의 진단이 필요합니다.
- CH45: 실외기 유니트 온도 센서 오류
- 원인: 실외기 전반적인 유니트 온도를 측정하는 센서의 오류입니다.
- 해결 방법: 전원 리셋 후에도 지속되면 전문가의 진단이 필요합니다.
- CH46: 실외기 EEV 통신 에러
- 원인: 전자식 팽창밸브(EEV)와 실외기 간의 통신에 문제가 발생했을 때 나타납니다.
- 해결 방법: 전원 리셋 후에도 지속되면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합니다.
- CH47: 실외기 PCB EEPROM 에러
- 원인: 실외기 PCB의 EEPROM에 저장된 데이터에 오류가 발생했을 때 나타납니다.
- 해결 방법: 전원 리셋 후에도 지속되면 PCB 교체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 CH48: 실외기 EEV 오픈 에러
- 원인: 전자식 팽창밸브(EEV)가 제대로 열리지 않을 때 발생합니다.
- 해결 방법: 전원 리셋 후에도 지속되면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합니다.
- CH49: 실외기 EEV 닫힘 에러
- 원인: 전자식 팽창밸브(EEV)가 제대로 닫히지 않을 때 발생합니다.
- 해결 방법: 전원 리셋 후에도 지속되면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합니다.
- CH50: 실외기 EEPROM 데이터 에러
- 원인: 실외기 EEPROM 데이터에 손상이 발생했을 때 나타납s니다.
- 해결 방법: 전원 리셋 후에도 지속되면 PCB 교체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 CH51: 실외기 메인 제어 통신 에러
- 원인: 실외기 메인 제어부와 다른 부품 간의 통신에 문제가 발생했을 때 나타납니다.
- 해결 방법: 전원 리셋 후에도 지속되면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합니다.
- 54: 상전압 이상
- 원인: 3상 전원을 사용하는 시스템 에어컨에 공급되는 전압의 상이 불균형하거나 이상이 있을 때 발생합니다.
- 해결 방법: 전문적인 전기 지식이 필요한 문제이므로, 반드시 전기 전문가를 호출하여 해결해야 합니다.
- 60: 실외기 PCB EEPROM 에러
- 원인: 실외기 PCB의 EEPROM에 문제가 발생했을 때 나타납니다.
- 해결 방법: 전원 리셋 후에도 지속되면 PCB 교체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 61: 실외기 방열판 과열
- 원인: 실외기 방열판이 과열되었을 때 발생합니다. 주로 실외기 통풍 불량, 먼지 쌓임 등이 원인입니다.
- 해결 방법:
- 실외기 주변 청소: 실외기 주변의 먼지, 이물질 등을 깨끗하게 청소하고, 통풍을 방해하는 장애물을 제거합니다.
- 전원 리셋: 과열로 인한 일시적인 오류일 수 있으므로 전원 리셋을 시도합니다.
- 62: 실외기 팬 모터 통신 에러
- 원인: 실외기 팬 모터와 제어부 간의 통신에 문제가 발생했을 때 나타납니다.
- 해결 방법: 전원 리셋 후에도 지속되면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합니다.
- 65: 실외기 PCB 온도 센서 에러
- 원인: 실외기 PCB의 온도를 감지하는 센서에 문제가 발생했을 때 나타납니다.
- 해결 방법: 전원 리셋 후에도 지속되면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합니다.
- 67: 실외기 BLDC 팬 잠김
- 원인: 실외기 BLDC(Brushless DC) 팬 모터가 이물질 등으로 인해 잠겨 작동하지 않을 때 발생합니다.
- 해결 방법: 이물질 제거 및 전원 리셋을 시도합니다.
- 68: 실외기 AC 팬 잠김
- 원인: 실외기 AC 팬 모터가 이물질 등으로 인해 잠겨 작동하지 않을 때 발생합니다.
- 해결 방법: 이물질 제거 및 전원 리셋을 시도합니다.
- 81: 실외기 압축기 작동 시간 초과
- 원인: 압축기가 비정상적으로 오랜 시간 작동했거나, 시동에 문제가 발생했을 때 나타납니다.
- 해결 방법: 전원 리셋 후에도 지속되면 전문가의 점검이 필요합니다.
- 82: 실외기 압축기 과부하
- 원인: 압축기에 과도한 부하가 걸렸을 때 발생합니다.
- 해결 방법: CH28과 동일하게 실외기 주변 점검 및 전원 리셋을 시도합니다.
- 83: 실외기 팬 고장
- 원인: 실외기 팬 모터 자체에 고장이 발생했을 때 나타납니다.
- 해결 방법: 전원 리셋 후에도 팬이 작동하지 않는다면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합니다.
- 84: 실외기 냉매 누설
- 원인: 실외기에서 냉매가 누설되었을 때 발생합니다.
- 해결 방법: 이 코드가 뜨면 즉시 에어컨 사용을 중단하고 전문가를 호출하여 냉매 누설 부위를 찾아 수리하고 냉매를 보충해야 합니다.
- 85: 실외기 압축기 고장
- 원인: 실외기 압축기에 심각한 고장이 발생했을 때 나타납니다.
- 해결 방법: 전문가의 진단과 수리 또는 교체가 필요합니다.
- 91: 냉매량 부족
- 원인: 에어컨 시스템 내의 냉매량이 부족할 때 발생합니다. 냉매 누설이 주요 원인입니다.
- 해결 방법: 전문가를 호출하여 냉매 누설 여부를 점검하고 냉매를 보충해야 합니다.
- 92: 실외기 저압 센서 고장
- 원인: 실외기 저압 센서에 고장이 발생했을 때 나타납니다.
- 해결 방법: 전원 리셋 후에도 지속되면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합니다.
- 93: 실외기 고압 센서 고장
- 원인: 실외기 고압 센서에 고장이 발생했을 때 나타납s니다.
- 해결 방법: 전원 리셋 후에도 지속되면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합니다.
- 94: 실외기 압축기 유량 이상
- 원인: 압축기 내 냉매 유량에 이상이 있을 때 발생합니다.
- 해결 방법: 전원 리셋 후에도 지속되면 전문가의 진단이 필요합니다.
- 95: 실외기 메인 제어기 통신 에러
- 원인: 실외기 메인 제어기와 다른 부품 간의 통신에 문제가 발생했을 때 나타납니다.
- 해결 방법: 전원 리셋 후에도 지속되면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합니다.
- 96: 실외기 모듈 통신 에러
- 원인: 실외기 내부 모듈 간의 통신에 문제가 발생했을 때 나타납니다.
- 해결 방법: 전원 리셋 후에도 지속되면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합니다.
- 97: 실외기 제어기 과열
- 원인: 실외기 제어기 부분이 과열되었을 때 발생합니다.
- 해결 방법: 전원 리셋 및 실외기 주변 통풍 확인을 시도합니다.
- 98: 실외기 메인 제어기 통신 에러
- 원인: 실외기 메인 제어기 통신에 문제가 발생했을 때 나타납니다.
- 해결 방법: 전원 리셋 후에도 지속되면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합니다.
- 99: 실외기 냉매량 부족
- 원인: 에어컨 시스템 내의 냉매량이 부족할 때 발생합니다. 91번 코드와 유사합니다.
- 해결 방법: 전문가를 호출하여 냉매 누설 여부를 점검하고 냉매를 보충해야 합니다.
5. 전문가 호출 전, 이것만은 꼭 확인하세요!
위에서 설명된 에러코드들을 보고 직접 해결해 보려 노력했지만, 그래도 해결되지 않거나 불안한 부분이 있다면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현명합니다. 하지만 전문가를 부르기 전에 마지막으로 몇 가지 확인할 사항이 있습니다.
- 전원 리셋은 충분히 해보셨나요?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효과적인 해결책입니다. 최소 5분 이상 전원을 완전히 차단한 후 다시 연결해 보세요.
- 실내외기 주변 청소는 하셨나요? 먼지, 이물질, 통풍 방해 요소 등은 에러코드의 흔한 원인입니다. 깨끗하게 청소해 보세요.
- 리모컨 배터리 상태는 괜찮은가요? 간혹 리모컨 배터리 부족으로 인해 통신 오류가 발생하기도 합니다.
- 설치 환경에 변화가 있었나요? 최근 이사, 리모델링 등으로 에어컨 설치 환경이 바뀌었다면 전문가 점검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 에러코드를 정확히 메모해 두었나요? 서비스센터에 문의 시 에러코드를 정확히 알려주면 더욱 빠르고 정확한 진단과 해결이 가능합니다.
LG 시스템 에어컨의 경우, 일반 가정용 에어컨보다 구조가 복잡하고 고가의 장비이므로, 자가 해결이 어렵다고 판단되면 지체 없이 LG전자 서비스센터에 문의하거나, 시스템 에어컨 전문 설치/수리 업체에 연락하는 것이 좋습니다. 무리한 자가 수리는 더 큰 고장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안전 문제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6. 마무리하며: 에러코드, 이제 더 이상 두렵지 않아요!
LG 시스템 에어컨 에러코드는 더 이상 여러분을 당황하게 만들지 않을 겁니다. 이 블로그 게시물에서 제공하는 정보들을 바탕으로 여러분의 에어컨 문제를 직접 진단하고, 간단한 해결 방법을 시도해 보세요. 혼자 힘으로 해결했다는 뿌듯함은 물론, 불필요한 지출까지 줄일 수 있을 것입니다. 올여름에도 시원하고 쾌적한 실내 환경에서 건강하게 보내시길 바랍니다!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설치 기사님 없이 에어컨 진공 작업, 초보자도 5분 만에 끝내는 특급 노하우! (2) | 2025.06.11 |
---|---|
"숨 막히는 여름, 에어컨 점검 5분 만에 끝내는 초간단 비법 대공개!" (2) | 2025.06.10 |
혹시 에어컨 실외기 청소, 너무 어렵게만 생각하셨나요? (0) | 2025.06.10 |
"5분이면 끝! 카톡인증서, 이렇게 쉬운데 아직도 헤매시나요?" (3) | 2025.06.07 |
PC 카톡, 1분 만에 설치하고 바로 쓰는 초간단 가이드! (3) | 2025.06.06 |